El origen de la tradición de comer las uvas tiene un precedente: un bando municipal del alcalde de Madrid, José Abascal y Carredano, de diciembre de 1882, por el que se imponía una cuota de 1 duro (cinco pesetas) a todos los que quisieran salir a recibir a los Reyes Magos. Esta tradición servía para ridiculizar a algunos forasteros que llegaban esos días y a quienes se les hacía creer que había que ir a buscar a los Reyes Magos la madrugada del 5 de enero; se utilizaba, además, para beber y hacer cuanto ruido se quisiera. Con este bando José Abascal privó a los madrileños de la posibilidad de disfrutar de un día de fiesta en donde se permitiese casi todo. Esto, junto a la costumbre de las familias acomodadas de tomar uvas y champán en la cena de Nochevieja, provocó que un grupo de madrileños decidieran ironizar la costumbre burguesa, acudiendo a la Puerta del Sol a tomar las uvas al son de las campanadas. Estos son los antecedentes que dieron lugar a esta costumbre
포도를 먹고 전통의 기원은 전례: 마드리드, 호세 아바스칼 내무부 장관과 carredano, 1882일 시립 시장의 한 면이 있고 하드( 다섯 페세타) 1의 할당량은 세 왕을 받기 종료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부과.조롱하는 요즘 일부 외부인들에 도착한 것이며, 그의 경외로운 모습 5일 오전 원하는 것을 믿게 된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이 전통, 소음은 얼마나 마시고되었습니다. 이 사이드 호세 아바스칼 내무부 장관의 마드리드 사람들이 거의 모든 것 수 있는 곳 축제의 날 즐길 수 있는 가능성을 박탈하였다. 이,부유한 가족들의 사용자 지정 옆에 있는 새해 전야 저녁 식사를 위해 포도와 샴페인, 평소 부르주아 마드리드의 그룹 모순 비평하기 결정 메시지, Puerta del Sol에 포도의 차임벨이 있다로 이행. 이러한 것들은 이 사용자 지정을 이끌었던 배경입니다
번역되고, 잠시 기다려주십시오..
